제28회 아카데미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8회 아카데미상은 1956년 2월 18일에 발표되었으며, 영화 《마티》가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등 4개 부문을 수상했다. 또한, 《러브 이즈 어 매니 스플렌더드 씽》과 《로즈 타투》가 각각 3개의 상을 받았다. 시상식에서는 촬영상, 편집상, 미술상, 의상상, 음악상, 주제가상, 음향효과상, 특수효과상, 단편영화상, 다큐멘터리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6년 3월 - 1956년 조지아 시위
1956년 조지아 시위는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 연설에 반발한 조지아인들이 스탈린 명예 회복과 흐루쇼프 퇴진을 요구하며 트빌리시를 중심으로 조지아 전역에서 벌인 시위로, 소련 정부의 무력 진압으로 많은 사상자와 체포자가 발생했으며 조지아 민족주의 부상과 독립 운동의 전환점이 되었다. - 1955년 영화상 - 제13회 골든 글로브상
제13회 골든 글로브상은 1956년에 개최되었으며, 영화 부문에서 《에덴의 동쪽》과 《아가씨와 건달들》이 각각 드라마 작품상과 뮤지컬/코미디 작품상을 수상했다. - 1955년 영화상 - 제12회 골든 글로브상
1954년 영화를 대상으로 1955년에 시상된 제12회 골든 글로브상은 《워터프론트》와 《카르멘 존스》가 작품상을 수상하고 말론 브란도, 그레이스 켈리, 제임스 메이슨, 주디 갈랜드가 연기상을 수상했으며, 《제네비에브》가 외국어 영화상을, 월트 디즈니가 특별 업적상을, 진 허숄트, 조안 크로포드, 스탠리 크레이머가 세실 B. 데밀 상을 수상했다. - 1956년 미국 -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로자 파크스 사건으로 촉발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은 흑인 공동체의 비폭력 저항을 통해 382일간 지속되어 연방 대법원의 버스 인종차별 정책 위헌 판결을 이끌어낸 미국 시민권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다. - 1956년 미국 - 레드윙 작전
레드윙 작전은 1956년 미국이 태평양의 에네웨타크 환초와 비키니 환초에서 핵무기 개발 및 성능 시험을 목적으로 총 17회의 핵폭발을 포함하여 실시한 일련의 핵 실험들을 지칭한다.
제28회 아카데미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회차 | 28회 |
시상식 이름 | 아카데미상 |
날짜 | 1956년 3월 21일 |
장소 | RKO 팬티지스 극장, 할리우드, 캘리포니아, NBC Century Theatre, 뉴욕, 뉴욕 주 |
사회자 | 제리 루이스(로스앤젤레스), 클로데트 콜베르(뉴욕), 조셉 L. 맨키위츠(뉴욕) |
프로듀서 | 로버트 에밋 돌란 |
감독 | 조지 시턴 |
방송사 | NBC |
이전 시상식 | 27회 |
다음 시상식 | 29회 |
수상 | |
작품상 | 마티 |
최다 수상 | 마티 (4개) |
최다 후보 | 애정은 여러 가지 빛깔의 것, 마티, 장미 문신 (8개) |
2. 수상 및 후보 목록
후보작은 1956년 2월 18일에 발표되었다. 수상작은 먼저 나열되었으며 '''굵은 글씨'''로 강조 표시되었다.[2]
'''작품상'''
- '''''마티 – 해럴드 헥트 (Harold Hecht) for 유나이티드 아티스츠'''''
- * ''러브 이즈 어 매니 스플렌더드 씽 – 버디 애들러 (Buddy Adler) for 20세기 폭스
- * ''미스터 로버츠 – 릴런드 헤이워드 (Leland Hayward) for 워너 브라더스
- * ''피크닉 – 프레드 콜마 (Fred Kohlmar) for 컬럼비아 픽처스
- * ''장미 문신 – 할 B. 월리스 (Hal B. Wallis) for 파라마운트 픽처스
'''감독상'''
- '''델버트 맨 – ''마티'''''
- * 존 스터지스 – ''배드 데이 앳 블랙 록''
- * 엘리아 카잔 – ''에덴의 동쪽''
- * 조슈아 로건 – ''피크닉''
- * 데이비드 린 – ''섬머타임''
'''남우주연상'''
- '''어니스트 보그나인 – ''마티'' - 마티 필레티 역'''
- * 제임스 케그니 – ''러브 미 오어 리브 미'' - 마틴 스나이더 역
- * 제임스 딘 (사후 후보) – ''에덴의 동쪽'' - 케일럽 트래스크 역
- * 프랭크 시나트라 – ''황금 팔을 가진 사나이'' - 프랭키 "딜러" 머신 역
- * 스펜서 트레이시 – ''배드 데이 앳 블랙 록'' - 존 J. 맥크리디 역
'''여우주연상'''
- '''안나 마냐니 – ''장미 문신'' - 세라피나 델레 로즈 역'''
- * 수잔 헤이워드 – ''내일 울거야'' - 릴리안 로스 역
- * 캐서린 헵번 – ''섬머타임'' - 제인 허드슨 역
- * 제니퍼 존스 – ''러브 이즈 어 매니 스플렌더드 씽'' - 한 수인 박사 역
- * 엘리너 파커 – ''인터럽티드 멜로디'' - 마조리 로렌스 역
'''남우조연상'''
- '''잭 레먼 – ''미스터 로버츠'' - 프랭크 설로우 풀버 소위 역'''
- * 아서 케네디 – ''트라이얼'' - 버나드 캐슬 역
- * 조 맨텔 – ''마티'' - 앤지 역
- * 샐 미네오 – ''이유 없는 반항'' - 존 "플라토" 크로포드 역
- * 아서 오코넬 – ''피크닉'' - 하워드 비번스 역
'''여우조연상'''
- '''조 밴 플리트 – ''에덴의 동쪽'' - 캐시 에임스/케이트 트래스크 역'''
- * 베치 블레어 – ''마티'' - 클라라 역
- * 페기 리 – ''피트 켈리의 블루스'' - 로즈 홉킨스 역
- * 마리사 파반 – ''장미 문신'' - 로사 델레 로즈 역
- * 나탈리 우드 – ''이유 없는 반항'' - 주디 역
'''각색상'''
- '''''마티'' – 패디 체예프스키 (Paddy Chayefsky) - 패디 체예프스키의 ''마티''에서'''
- * ''배드 데이 앳 블랙 록'' – 밀라드 코프먼 (Millard Kaufman) - 하워드 브레슬린 (Howard Breslin)의 "혼다에서의 불행한 시간"에서
- * ''블랙보드 정글'' – 리처드 브룩스 (Richard Brooks) - 에번 헌터 (Evan Hunter)의 ''블랙보드 정글''에서
- * ''에덴의 동쪽'' – 폴 오스본 (Paul Osborn) - 존 스타인벡의 ''에덴의 동쪽''에서
- * ''러브 미 오어 리브 미'' – 대니얼 푹스 (Daniel Fuchs)와 이소벨 레너트 (Isobel Lennart)
'''각본상'''
- '''''인터럽티드 멜로디'' – 윌리엄 루드비히 (William Ludwig)와 소냐 레비엔 (Sonya Levien)'''
- * ''빌리 미첼의 군법 회의'' – 밀턴 스펄링 (Milton Sperling)과 에멧 레이버리 (Emmet Lavery)
- * ''날씨는 늘 좋다'' – 베티 코멘 (Betty Comden)과 아돌프 그린 (Adolph Green)
- * ''미스터 훌로의 휴가'' – 자크 타티 (Jacques Tati)와 앙리 마르케 (Henri Marquet)
- * ''세븐 리틀 포이즈'' – 멜빌 셰이블슨 (Melville Shavelson)과 잭 로즈 (Jack Rose)
'''최우수 영화 스토리'''
- '''''러브 미 오어 리브 미'' – 대니얼 푹스 (Daniel Fuchs)'''
- * ''벤슨 메이저의 개인 전쟁'' – 조 코넬리 (Joe Connelly)와 밥 모셔 (Bob Mosher)
- * ''이유 없는 반항'' – 니콜라스 레이 (Nicholas Ray)
- * ''양은 다리가 다섯 개'' – 장 마르상 (Jean Marsan), 앙리 트루아야 (Henri Troyat), 자크 페레 (Jacques Perret), 앙리 베르누이 (Henri Verneuil) 및 라울 플로캥 (Raoul Ploquin)
- * ''전략 공군 사령부'' – 베르니 레이 주니어 (Beirne Lay Jr.)
'''장편 다큐멘터리상'''
- '''''헬렌 켈러의 이야기'' – 낸시 해밀턴 (Nancy Hamilton)'''
- * ''크뢰브쾨르'' – 르네 리사셰
'''단편 다큐멘터리상'''
- '''''북극을 향한 사람들''''' – '''월트 디즈니'''
- * ''게티즈버그 전투'' – 도어 샤리 (Dore Schary)
- * ''링컨의 얼굴'' – 윌버 T. 블룸
'''1릴 단편 영화상'''
- '''''생존 도시'' – 에드먼드 릭'''
- * ''3번가 엘'' – 카슨 데이비슨
- * ''개짓 갤로어'' – 로버트 영슨
- * ''세 개의 키스'' – 저스틴 허먼
'''2릴 단편 영화상'''
- '''''링컨의 얼굴'' – 윌버 T. 블룸'''
- * ''24시간 경보'' – 세드릭 프랜시스
- * ''게티즈버그 전투'' – 도어 샤리 (Dore Schary)
- * ''12번째 날'' – 조지 K. 아서
- * ''스위스'' – 월트 디즈니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상'''
- '''''스피디 곤잘레스'' – 에드워드 셀저'''
- * ''인류에 대한 선의'' – 프레드 큄비, 윌리엄 해나, 조셉 바베라
- * ''록커비 포인트의 전설'' – 월터 랜츠
- * ''노 헌팅'' – 월트 디즈니
'''드라마틱/코미디 영화 음악상'''
- '''''러브 이즈 어 매니 스플렌더드 씽'' – 알프레드 뉴먼'''
- * ''배틀 크라이'' – 맥스 스타이너
- * ''황금 팔을 가진 사나이'' – 엘머 번스타인
- * ''피크닉'' – 조지 듀닝
- * ''장미 문신'' – 알렉스 노스
'''뮤지컬 영화 음악상'''
- '''''오클라호마!'' – 로버트 러셀 베넷, 제이 블랙턴 및 아돌프 도이치'''
- * ''다디 롱 레그스'' – 알프레드 뉴먼
- * ''아가씨와 건달들'' – 제이 블랙턴과 시릴 J. 목리지
- * ''날씨는 늘 좋다'' – 앙드레 프레빈
- * ''러브 미 오어 리브 미'' – 퍼시 페이스와 조지 스톨
'''주제가상'''
- '''"러브 이즈 어 매니 스플렌더드 씽" from ''러브 이즈 어 매니 스플렌더드 씽'' – 음악 새미 페인; 가사 폴 프랜시스 웹스터'''
- * "아이 윌 네버 스톱 러빙 유" from ''러브 미 오어 리브 미'' – 음악 니컬러스 브로드즈키; 가사 새미 칸
- * "섬씽스 갓 투 기브" from ''다디 롱 레그스'' – 음악 및 가사 조니 머서
- * "부드러운 유혹" from ''부드러운 유혹'' – 음악 지미 반 휴슨; 가사 새미 칸
- * "언체인드 멜로디" from ''언체인드'' – 음악 알렉스 노스; 가사 하이 자렛
'''음향상'''
- '''''오클라호마!'' – 프레드 하인스'''
- * ''러브 이즈 어 매니 스플렌더드 씽'' – 칼턴 W. 포크너
- * ''러브 미 오어 리브 미'' – 웨슬리 C. 밀러
- * ''미스터 로버츠'' – 윌리엄 A. 뮬러
- * ''낯선 자가 아니다'' – 왓슨 존스
'''미술상'''
- '''흑백 미술상'''
- * '''장미 문신'' – 미술: 할 페레이라와 탐비 라르센; 세트 장식: 새뮤얼 M. 코머와 아서 크람스'''
- ** ''블랙보드 정글'' – 미술: 세드릭 기번스와 랜들 듀얼; 세트 장식: 에드윈 B. 윌리스와 헨리 그레이스
- ** ''내일 울거야'' – 미술: 세드릭 기번스와 말콤 브라운; 세트 장식: 에드윈 B. 윌리스와 휴 헌트
- ** ''황금 팔을 가진 사나이'' – 미술: 조셉 C. 라이트; 세트 장식: 다렐 실베라
- ** ''마티'' – 미술: 테드 호워스와 월터 M. 시몬즈; 세트 장식: 로버트 프리스틀리
- '''컬러 미술상'''
- * '''''피크닉'' – 미술: 윌리엄 플래너리와 조 미엘지너; 세트 장식: 로버트 프리스틀리'''
- ** ''다디 롱 레그스'' – 미술: 라일 R. 휠러와 존 드큐어; 세트 장식: 월터 M. 스콧과 폴 S. 폭스
- ** ''아가씨와 건달들'' – 미술: 올리버 스미스와 조셉 C. 라이트; 세트 장식: 하워드 브리스톨
- ** ''러브 이즈 어 매니 스플렌더드 씽'' – 미술: 라일 R. 휠러와 조지 데이비스; 세트 장식: 월터 M. 스콧과 잭 스터브스
- ** ''나는 결백하다'' – 미술: 할 페레이라와 조셉 맥밀란 존슨; 세트 장식: 새뮤얼 M. 코머와 아서 크람스
'''촬영상'''
- '''흑백 촬영상'''
- * '''장미 문신'' – 제임스 웡 호'''
- ** ''블랙보드 정글'' – 러셀 할란
- ** ''내일 울거야'' – 아서 얼링
- ** ''마티'' – 조셉 라셸
- ** ''퀸 비'' – 찰스 랭
- '''컬러 촬영상'''
- * '''나는 결백하다'' – 로버트 버크스'''
- ** ''아가씨와 건달들'' – 해리 스트래들링
- ** ''러브 이즈 어 매니 스플렌더드 씽'' – 레온 샴로이
- ** ''피터라는 이름의 사나이'' – 해럴드 립스타인
- ** ''오클라호마!'' – 로버트 서티스
'''의상상'''
- '''흑백 의상상'''
- * '''''내일 울거야'' – 헬렌 로즈'''
- ** ''픽윅 페이퍼스'' – 베아트리스 도슨
- ** ''퀸 비'' – 진 루이
- ** ''장미 문신'' – 에디스 헤드
- ** ''우게츠 이야기'' – 가이노쇼 타다오토
- '''컬러 의상상'''
- * '''''러브 이즈 어 매니 스플렌더드 씽'' – 찰스 르메어'''
- ** ''아가씨와 건달들'' – 아이린 샤라프
- ** ''인터럽티드 멜로디'' – 헬렌 로즈
- ** ''나는 결백하다'' – 에디스 헤드
- ** ''버진 퀸'' – 찰스 르메어와 메리 윌스
'''편집상'''
- '''''피크닉'' – 찰스 넬슨과 윌리엄 리온'''
- * ''블랙보드 정글'' – 페리스 웹스터
- * ''도코리 다리'' – 알마 매크로리
- * ''오클라호마!'' – 진 루지에로와 조지 보엘러
- * ''장미 문신'' – 워렌 로
'''특수효과상'''
- '''''도코리 다리'''''
- * ''댐 버스터''
- * ''랜치푸르의 비''
2. 1. 작품상
헤롤드 헤츠가 제작한 마티가 작품상을 수상했다.[2] 버디 애들러의 모정, 리랜드 헤이워드의 미스터 로버츠, 프레드 콜마의 피크닉, 할 B. 월리스의 장미 문신이 후보에 올랐다.[2]
2. 2. 감독상
델버트 맨은 마티로 아카데미 감독상을 수상했다.[2] 후보작은 1956년 2월 18일에 발표되었다.[2]존 스터지스는 배드 데이 블랙 록으로, 엘리아 카잔은 에덴의 동쪽으로, 조슈아 로간은 피크닉으로, 데이비드 린은 섬머타임으로 후보에 올랐다.[2]
2. 3. 남우주연상
마티에서 마티 필레티 역을 연기한 어니스트 보그나인이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2] 후보로는 배드 데이 블랙 록의 스펜서 트레이시, 에덴의 동쪽의 제임스 딘, 사랑하거나 떠나거나의 제임스 카그니, 황금팔을 가진 사나이의 프랭크 시나트라가 있었다.[2]2. 4. 여우주연상
'''안나 마냐니'''는 장미 문신에서 세라피나 델레 로즈 역으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2]수잔 헤이워드는 릴리안 로스역으로 (내일 울거야), 캐서린 헵번은 제인 허드슨 역으로 (섬머타임), 제니퍼 존스는 한 수인 박사 역으로 (러브 이즈 어 매니 스플렌더드 씽), 엘리너 파커는 마조리 로렌스 역으로 (인터럽티드 멜로디)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2]
2. 5. 남우조연상
'''잭 레먼''' – ''미스터 로버츠'' - 프랭크 설로우 풀버 소위 역[2]- 아서 케네디 – ''심판'' - 버나드 캐슬 역[2]
- 조 맨텔 – ''마티'' - 앤지 역[2]
- 살 미네오 – ''이유없는 반항'' - 존 "플라토" 크로포드 역[2]
- 아서 오코넬 – ''피크닉'' - 하워드 비번스 역[2]
2. 6. 여우조연상
조 반 프릿이 에덴의 동쪽에서 캐시 에임스/케이트 트래스크 역으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2] 후보로는 벳시 블레어(마티), 페기 리(피트 켈리의 블루스), 마리사 파밴(장미 문신), 나탈리 우드(이유 없는 반항)가 있었다.[2]2. 7. 각색상
패디 체이예프스키가 마티로 아카데미 각색상을 수상했다.[2]1955년에 발표된 패디 체이예프스키의 텔레비전 드라마 마티를 각색한 마티는 아카데미 각색상을 수상했다.[2] 후보작으로는 밀라드 코프먼이 각색한 배드 데이 앳 블랙 록, 리처드 브룩스가 각색한 블랙보드 정글, 폴 오스본이 각색한 에덴의 동쪽, 대니얼 푹스와 이소벨 레너트가 각색한 러브 미 오어 리브 미가 있었다.[2]
2. 8. 각본상
윌리엄 루드윅과 소냐 레비엔이 중단된 멜로디로 아카데미 각본상을 수상했다.[2] 다니엘 퍼치스도 사랑하거나 떠나거나로 각본상을 수상했다.[2]2. 9. 외국어 영화상
1956년 2월 18일에 후보작이 발표되었다. 수상작은 '''굵은 글씨'''로 강조 표시되었다.[2]
- '''무사시''' (일본)[2]
2. 10. 기타 부문
'''촬영상'''- '''흑백 촬영상'''
- * '''장미 문신'' – 제임스 웡 호'''[2]
- ** ''블랙보드 정글'' – 러셀 할란
- ** ''내일 울거야'' – 아서 얼링
- ** ''마티'' – 조셉 라셸
- ** ''퀸 비'' – 찰스 랭
- '''컬러 촬영상'''
- * '''나는 결백하다'' – 로버트 버크스'''[2]
- ** ''아가씨와 건달들'' – 해리 스트래들링
- ** ''러브 이즈 어 매니 스플렌더드 씽'' – 레온 샴로이
- ** ''피터라는 이름의 사나이'' – 해럴드 립스타인
- ** ''오클라호마!'' – 로버트 서티스
'''최우수 편집상'''
- '''''피크닉'' – 찰스 넬슨과 윌리엄 리온'''[2]
- * ''블랙보드 정글'' – 페리스 웹스터
- * ''도코리 다리'' – 알마 매크로리
- * ''오클라호마!'' – 진 루지에로와 조지 보엘러
- * ''장미 문신'' – 워렌 로
'''미술상'''
- '''흑백 미술상'''
- * '''장미 문신'' – 미술: 할 페레이라와 탐비 라르센; 세트 장식: 새뮤얼 M. 코머와 아서 크람스'''[2]
- ** ''블랙보드 정글'' – 미술: 세드릭 기번스와 랜들 듀얼; 세트 장식: 에드윈 B. 윌리스와 헨리 그레이스
- ** ''내일 울거야'' – 미술: 세드릭 기번스와 말콤 브라운; 세트 장식: 에드윈 B. 윌리스와 휴 헌트
- ** ''황금 팔을 가진 사나이'' – 미술: 조셉 C. 라이트; 세트 장식: 다렐 실베라
- ** ''마티'' – 미술: 테드 호워스와 월터 M. 시몬즈; 세트 장식: 로버트 프리스틀리
- '''컬러 미술상'''
- * '''''피크닉'' – 미술: 윌리엄 플래너리와 조 미엘지너; 세트 장식: 로버트 프리스틀리'''[2]
- ** ''다디 롱 레그스'' – 미술: 라일 R. 휠러와 존 드큐어; 세트 장식: 월터 M. 스콧과 폴 S. 폭스
- ** ''아가씨와 건달들'' – 미술: 올리버 스미스와 조셉 C. 라이트; 세트 장식: 하워드 브리스톨
- ** ''러브 이즈 어 매니 스플렌더드 씽'' – 미술: 라일 R. 휠러와 조지 데이비스; 세트 장식: 월터 M. 스콧과 잭 스터브스
- ** ''나는 결백하다'' – 미술: 할 페레이라와 조셉 맥밀란 존슨; 세트 장식: 새뮤얼 M. 코머와 아서 크람스
'''의상상'''
- '''흑백 의상상'''
- * '''''내일 울거야'' – 헬렌 로즈'''[2]
- ** ''픽윅 페이퍼스'' – 베아트리스 도슨
- ** ''퀸 비'' – 진 루이
- ** ''장미 문신'' – 에디스 헤드
- ** ''우게츠 이야기'' – 가이노쇼 타다오토
- '''컬러 의상상'''
- * '''''러브 이즈 어 매니 스플렌더드 씽'' – 찰스 르메어'''[2]
- ** ''아가씨와 건달들'' – 아이린 샤라프
- ** ''인터럽티드 멜로디'' – 헬렌 로즈
- ** ''나는 결백하다'' – 에디스 헤드
- ** ''버진 퀸'' – 찰스 르메어와 메리 윌스
'''아카데미 음악상'''
- '''드라마틱/코미디 영화 음악상'''
- * '''''러브 이즈 어 매니 스플렌더드 씽'' – 알프레드 뉴먼'''[2]
- ** ''배틀 크라이'' – 맥스 스타이너
- ** ''황금 팔을 가진 사나이'' – 엘머 번스타인
- ** ''피크닉'' – 조지 듀닝
- ** ''장미 문신'' – 알렉스 노스
- '''뮤지컬 영화 음악상'''
- * '''''오클라호마!'' – 로버트 러셀 베넷, 제이 블랙턴 및 아돌프 도이치'''[2]
- ** ''다디 롱 레그스'' – 알프레드 뉴먼
- ** ''아가씨와 건달들'' – 제이 블랙턴과 시릴 J. 목리지
- ** ''날씨는 늘 좋다'' – 앙드레 프레빈
- ** ''러브 미 오어 리브 미'' – 퍼시 페이스와 조지 스톨
'''주제가상'''
- '''"러브 이즈 어 매니 스플렌더드 씽" from ''러브 이즈 어 매니 스플렌더드 씽'' – 음악 새미 페인; 가사 폴 프랜시스 웹스터'''[2]
- * "아이 윌 네버 스톱 러빙 유" from ''러브 미 오어 리브 미'' – 음악 니컬러스 브로드즈키; 가사 새미 칸
- * "섬씽스 갓 투 기브" from ''다디 롱 레그스'' – 음악 및 가사 조니 머서
- * "부드러운 유혹" from ''부드러운 유혹'' – 음악 지미 반 휴슨; 가사 새미 칸
- * "언체인드 멜로디" from ''언체인드'' – 음악 알렉스 노스; 가사 하이 자렛
'''음향상'''
- '''''오클라호마!'' – 프레드 하인스'''[2]
- * ''러브 이즈 어 매니 스플렌더드 씽'' – 칼턴 W. 포크너
- * ''러브 미 오어 리브 미'' – 웨슬리 C. 밀러
- * ''미스터 로버츠'' – 윌리엄 A. 뮬러
- * ''낯선 자가 아니다'' – 왓슨 존스
'''특수효과상'''
'''단편 영화상'''
- '''1릴 단편 영화상'''
- * '''''생존 도시'' – 에드먼드 릭'''[2]
- ** ''3번가 엘'' – 카슨 데이비슨
- ** ''개짓 갤로어'' – 로버트 영슨
- ** ''세 개의 키스'' – 저스틴 허먼
- '''2릴 단편 영화상'''
- * '''''링컨의 얼굴'' – 윌버 T. 블룸'''[2]
- ** ''24시간 경보'' – 세드릭 프랜시스
- ** ''게티즈버그 전투'' – 도어 샤리 (Dore Schary)
- ** ''12번째 날'' – 조지 K. 아서
- ** ''스위스'' – 월트 디즈니
-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상'''
- * '''''스피디 곤잘레스'' – 에드워드 셀저'''[2]
- ** ''인류에 대한 선의'' – 프레드 큄비, 윌리엄 해나, 조셉 바베라
- ** ''록커비 포인트의 전설'' – 월터 랜츠
- ** ''노 헌팅'' – 월트 디즈니
'''장편 다큐멘터리상'''
'''단편 다큐멘터리상'''
- '''''북극을 향한 사람들''''' – '''월트 디즈니'''[2]
- * ''게티즈버그 전투'' – 도어 샤리 (Dore Schary)
- * ''링컨의 얼굴'' – 윌버 T. 블룸
2. 10. 1. 촬영상
2. 10. 2. 편집상
- 피크닉 - 찰스 넬슨 수상
2. 10. 3. 미술상
피크닉 - 윌리엄 프랜네리 수상장미 문신 - 할 페레이라 수상
2. 10. 4. 의상상
2. 10. 5. 음악상
오클라호마 - Robert Russell Bennett 수상모정 - 알프레드 뉴먼 수상
2. 10. 6. 주제가상
모정 - Sammy Fain 수상2. 10. 7. 음향믹싱상
- 오클라호마 - Fred Hynes 수상
2. 10. 8. 특수효과상
- 원한의 도곡리 다리 - Paramount 수상
2. 10. 9. 단편영화상
- 스피디 곤잘레스 - 에드워드 셀저 수상
- Survival City - 에드먼드 릭 수상
- The Face of Lincoln - 윌버 T. 블룸 수상
2. 10. 10. 다큐멘터리상
- Helen Keller in Her Story - 낸시 해밀턴 수상
- Men Against the Arctic - 월트 디즈니 수상
3. 시상자 및 공연자
어니스트 보그나인은 각본상 및 각색상[3]을, 제임스 캐그니는 특수 효과상[3]을 시상했다. 칸틴플라스는 촬영상[3]을, 모리스 슈발리에는 주제가상[3]을 시상했다. 멜 페러와 클레어 트레버는 과학기술상[3]을, 수잔 헤이워드는 의상 디자인상[3]을 시상했다. 오드리 헵번은 작품상[3]을, 제니퍼 존스는 감독상[3]을 시상했다. 그레이스 켈리는 남우주연상[3]을, 페기 리와 잭 레먼은 미술상[3]을 시상했다. 말론 브란도는 마닐라에서 촬영한 영화 클립을 읽으며 여우주연상을 시상했다.[3] 제리 루이스는 편집상 및 여우주연상[3]을, 안나 마냐니는 각본상[3]을 시상했다. 샐 미네오는 음향상[3]을, 에드먼드 오브라이언은 여우조연상[3]을 시상했다. 엘리너 파커는 다큐멘터리상[3]을, 마리사 파반, 아서 오코넬, 조 밴 플리트는 단편영화상[3]을 시상했다. 프랭크 시나트라와 제리 루이스는 음악상[3]을 시상했다.
앙드레 프레빈은 아카데미 시상식 오케스트라 지휘를 맡았다.[3] 해리 벨라폰테는 ''언체인드''의 "언체인드 멜로디"를 불렀고,[3] 모리스 슈발리에는 ''Daddy Long Legs''의 "Something's Gotta Give"를 불렀다.[3] 에디 피셔는 ''러브 이즈 어 매니-스플렌도드 씽''의 "Love Is a Many-Splendored Thing"를 불렀고,[3] 딘 마틴은 ''The Tender Trap''의 "(Love Is) The Tender Trap"을 불렀다.[3] 제인 파월은 ''Love Me or Leave Me''의 "I'll Never Stop Loving You"를 불렀다.[3]
4. 최다 후보 및 수상 영화
제28회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여러 부문에 후보로 오르거나 수상한 영화는 다음과 같다.
후보 지명 | 영화 |
---|---|
8 | 러브 이즈 어 매니 스플렌더드 씽 |
마티 | |
로즈 타투 | |
6 | 나를 사랑하거나 떠나가거나 |
피크닉 | |
4 | 폭력 교실 |
에덴의 동쪽 | |
아가씨와 건달들 | |
내일 울리라 | |
오클라호마! | |
3 | 흑암의 고개 |
키다리 아저씨 | |
인터럽티드 멜로디 | |
황금 팔을 가진 사나이 | |
미스터 로버츠 | |
이유 없는 반항 | |
나는 결백하다 | |
2 | 게티즈버그 전투 |
도코리 다리 | |
링컨의 얼굴 | |
언제나 맑은 날씨 | |
여왕벌 | |
여름 |
5. 한국 영화와 아카데미 시상식
참조
[1]
서적
The People's Almanac
https://archive.org/[...]
Doubleday & Company, Inc.
1975
[2]
웹사이트
The 28th Academy Awards (1956)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Oscars.org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011-08-20
[3]
Youtube
Anna Magnani winning Best Actress for "The Rose Tatto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